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재개발 알아보기 : 개념과 절차에 관하여

by otarumoo 2023. 8. 16.

대한민국에서 진행하는 재개발이란, 쇠퇴한 도심 지역을 재건축하는 것을 말합니다. 재개발은 주로 도시의 환경을 개선하고, 주민들의 주거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시행됩니다. 재개발의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아파트에서 요가를 하는 여자와 개


cottonbro studio님의 사진: https://www.pexels.com/ko-kr/photo/4056535/


1. 재개발구역 지정: 재개발구역은 도시의 쇠퇴한 지역을 대상으로 지정됩니다.
2. 재개발계획 수립: 재개발구역의 개발 방향과 내용을 담은 재개발계획을 수립합니다.
3. 주민 의견 수렴: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재개발계획을 보완합니다.
4. 공람공고: 재개발계획을 공람하고 의견을 수렴합니다.
5.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재개발계획을 도시계획위원회에 심의합니다.
6. 도시계획 결정: 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재개발계획이 결정됩니다.
7. 사업시행자 선정: 재개발사업을 시행할 사업시행자를 선정합니다.
8. 사업시행인가: 사업시행자를 선정하고 사업시행인가를 받습니다.
9. 사업시행계획 수립: 사업시행계획을 수립합니다.
10. 사업시행인가: 사업시행계획을 수립하고 사업시행인가를 받습니다.
11. 착공: 사업시행자가 착공합니다.
12. 준공: 사업시행자가 준공합니다.
13. 입주: 주민들이 입주합니다.

재개발의 예상 기간은 사업 규모와 사업 진행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재개발 사업은 5년에서 10년 정도 소요됩니다.

대한민국에서 진행하는 재개발은 도시의 환경을 개선하고, 주민들의 주거 환경을 개선하는 데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재개발 과정에서 주민들의 이주 문제, 재개발 사업의 비용 문제, 재개발 사업의 부작용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정부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